페르소나 마케팅의 실패는 스스로가 누구인지 제대로 알리지 못하는 것에서 기인한다. 회사 면접에서는 고용주의 눈에 띄어야 구직을 꿈꿀 수 있고, 직장에서는 상사의 눈에 들어야 승진할 수 있다. 이것은 시장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곳에서도 우리는 고객들의 눈에 띄어야만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시장에서 우리가 오랫동안 기억되며, 미래 고객들의 눈에 띌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페르소나와 페르소나 마케팅 페르소나란 타인에게 보여 지는 외적 성격을 이르는 심리학 용어로, 우리는 이 페르소나를 통해 나타나는 표면적 이미지에 맞게 대접받는다. 우리가 내면의 실체보다는 타인의 눈에 비친 ‘나’로 평가되는 것처럼, 마케팅에서도 상품은 고객들이 가지고 있는 외적 브랜드 이미지에 따라 그 가치를 달리 평가받게 된다.. 더보기 지름신은 과연 어떻게 강림한 것인가? 지름신은 과연 어떻게 강림한 것인가? 최근, 인터넷의 발달로 가장 많이 강림한 신이 있다면 당연히 지름신이다. 대학생 A양은 새 학기 들어 입을 원피스를 고르고 있었다. 며칠 동안 이 포탈사이트 저 포탈사이트를 뒤적거리던 중, 한 포털사이트에 자신이 꼭 마음에 드는 디자인의 옷이 광고에 SALE과 함께 등장했다. A양은 당연히 그 광고를 클릭했다. 그리고 쇼핑창이 뜨자마자 A양은 망설임 없이 결재를 했다. 대학생 B군은 이번 학기 복학한다. 복학하기 위해 가방을 뒤지던 중, 자신의 마음에 드는 브랜드를 찾았다. 그 브랜드 가방을 여러 사이트에서 검색하던 중, 눈이 번쩍 띠였다. 자신이 찾던 브랜드의 할인 쿠폰이 소셜커머스 광고로 뜬 것이었다. B군은 바로 그 쿠폰을 구매하였고, 쿠폰을 사용하여 자신이 사.. 더보기 복고 마케팅 1. 배경 불황이 장기간 지속되면서 기업은 소비자들의 감성을 자극하는 상품과 마케팅을 선보이며 얼어붙은 소비심리를 녹이는데 열을 올리고 있다. 상품의 기능적인 측면을 부각하기보다 감성적인 도구를 통해 소비자와 정서적 유대를 형성함으로써 자연스럽게 구매로 연결하겠다는 움직임이다. 이 같은 움직임은 상품 자체를 구매한다는 느낌을 주는 대신 스토리텔링 기법을 활용하거나 기존 상품에는 없던 디자인과 패키지를 적용해 감성소비를 유도하고 있는 것이다. 2. 복고 마케팅의 특징 향수는 레트로, 복고와 같은 맥락으로 경기 불황과 사회혼란에서 오는 옛것에 대한 그리움으로 감성을 자극시킨다. 이는 오래전부터 영향력을 발휘했던 것인데, 비교적 최근에는 원더걸스의 복고패션이나 스니커즈의 유행, 셔플댄스 등을 들 수 있다. 사.. 더보기 이전 1 ··· 42 43 44 45 46 47 48 ··· 160 다음